728x90
반응형
가상메모리
- 메모리운영 기법이다.
- 용량이 작은 주기억 장치를 큰용량을 가진 것처럼 사용할수 있게 해준다.
특징
-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이다.
- 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하여 용량을 확보한다.
- 프로그램을 여러개의 작은 블럭으로 나누어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한다.
- 필요한 부분들만 가져온다.
주소의사용
- 가상주소:
- 보조기억 장치의 상의 주소이다. - 실기억 주소:
- 주기억장치 상의 주소다.
가상메모리 관리 기법
- 페이징기법:
- 프로그램을 동일한 블록으로 나누어 관리한다. - 세그먼트기법:
- 가변적인 크기의 블록으오 나누어 관리한다.
관리전략
반입전략
- 요구반입: 프로그램이 요구할때 적재
- 예상반입: 실행 프로그램에 의해 참조될 것 을 예상하여 적재
배치전략
- 주기억장치의 어디에 위치 시킬건지 정하는 전략
- 최초, 최적, 최악 적합이 있다.
교체전략
- 보조기억장치에서 메모리나 데이터를 가져올때 이미사용되고 있는 페이지중 하나를 택해 빈페이지로 만드는 전략
728x90
반응형
'Development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 Deadlock(교착상태), Starvation(기아상태) (0) | 2021.08.18 |
---|---|
[OS] Process Synchronization(프로세스 동기화) (0) | 2021.08.18 |
[OS] Synchronous(동기), Asynchronous(비동기) (0) | 2021.08.18 |
[OS] 프로세스와 쓰레드 그리고 차이점 (0) | 2021.08.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