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pring83 [Spring] 멀티 쓰레드 서블릿은 어떻게 실행될까? 서블릿을 실행하는 주체는 쓰레드이다. 쓰레드를 할당 받아 해당 서블릿을 쓰레드가 수행하게 된다. 쓰레드 란?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하나하나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은 쓰레드다. 쓰레드는 한번에 하나의 코드 라인만 수행한다. 동시 처리가 필요하면 쓰레드를 추가로 생성해야 된다. 아래에 자세한 설명을 적어 뒀습니다. https://vprog1215.tistory.com/166 [OS] 프로세스와 쓰레드 그리고 차이점 프로세스 프로그램의 실행 단위를 말한다. 프로그램의 인스턴스 라고 해도 된다. 프로세스의 구조 Code: 코드 및 상수가 기계어로 저장되는 영역이다. Data: 전역변수, Static 변수가 저장 되는 영역 vprog1215.tistory.com 단일요청 쓰레드 만약 쓰레.. 2021. 10. 5. [Spring] Servlet https://vprog1215.tistory.com/120 [WEB] Servlet 이란? Servlet 이란? 자바 서블릿(Java Servlet)은 컨테이너에의해 관리 된다. 자바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서버측 프로그램 혹은 그 사양을 말한다. Servlet은 자바코드 안에 HTML 을 포 vprog1215.tistory.com 2021. 10. 4. [Spring] Web server와 Was server Web server 와 Was server 사실상 웹 카테고리에 넣어야 하지만 강의를 듣고 정리를 해야 돼서 해당 카테코리에 정리를 하였습니다. web server과 was server 에 대해서 알아본다. 둘다 HTTP 기반으로 통신한다. HTTP 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 https://vprog1215.tistory.com/91 [WEB] HTTP 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는 W3(웹) 상에서 정보(데이터를) 주고 받을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주로 TCP를 사용하고 HTTP/3 부터는 UDP를 사용하며, 80번 포트.. vprog1215.tistory.com WEB Se.. 2021. 10. 4. [Spring] DispatcherServlet DispatcherServlet이란? 모든 요청을 DispatcherServlet을 통해 받는다. 해당 받아 Controller 로 전달한다. DispatcherServlet 을 Front에 둔다. - 그래서 Front Controller 이라고 한다. DispatcherServlet 을 적용하기 전 url 마다 서블릿을 만들고 그에 맏는 Controller 로 요청을 보내는 방식 DispatcherServlet 을 적용후 하나의 서블릿(FrontContoller) 에서 모든 요청을 받는다. 장점 모든 요청에 대해 에러, 공지, 처리, 를 다 할수 있다. Spring Framework의 MVC2 패턴 1. 고객이 요청한다. 2. 해당 요청에 대한 컨트롤러를 탐색한다. 3. 컨트로를을 찾은다음 컨트롤러에게.. 2021. 8. 24.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