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웹 개발 방식 및 정적컨테츠에 대해 알아봅니다.
3가지 개발방법
1. 정적컨테츠 개발
단순히 파일 내용을 웹에서 보여준다.
2. MVC와 템플릿 엔지 개발
jsp, php 등을 이용하여 서버에서 프로그래밍 후
html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보여주는것
3. API 개발 방식
json 포맷을 이용
정적 컨테츠 예제
spring에서 정적컨텐츠를 자동으로 보여준다.
아래 그림처럼
reource/static/hello-static.html 을 작성한다.

Intellij에서 run을 해준다.
localhost:8080/hello-static.html 을 url 입력해주면
html이 화면에 표시된다.

스프링에서 정적 컨텐츠가 실행되는 방법

- 사용자가 url을 입력한다.
- 톰캣서버가 요청을 받는다.
- 톰캣에서 받은 요청을 스프링에게 넘긴다.
- 그림에서 1번: 스프링은 먼저 우선순위가 높은 컨트롤러에서 해당 정보를 찾는다.
- 그림에서 2번: 없으면 reource/static/ 안에를 뒤져본다
참고: www.inflearn.com
[무료]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 인프런 | 강의
스프링 입문자가 예제를 만들어가면서 스프링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전반을 빠르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 학습 첫 길잡이! 개발 공부의 길을 잃지 않도록 도와드립니다. 📣 확인해주세
www.inflearn.com
728x90
반응형
'Spring > spring 기초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객체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SOLID) (0) | 2021.04.14 |
---|---|
[Spring] 스프링 공부 본격적으로 시작 (0) | 2021.04.12 |
[Spring] spring 웹 개발 기초 3(API방식) (0) | 2021.04.10 |
[Spring] spring 웹 개발 기초2(MVC와 템플릿 엔진) (0) | 2021.04.07 |
[Spring] Spring 개념 (0) | 2021.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