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pring83 [Spring] 스프링 프로젝트 시작하기 스프링 프로젝트 쉽게 만들기 환경셋팅 및 아래 툴사용 1. Intellij 2. gradle 아래 사이트로 이동한다. start.spring.io/ 원하는 환경 셋팅 Generate 클릭 하여 다운로드 압축해제 IntellIJ 시작 File->open->.gradle 기본적인 환경 및 프로젝트 로드 완료 2021. 4. 14. [Spring] 객체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SOLID) SOLID? 5개의 원칙의 앞글자를 따서 만든것이다. S => SRP(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단일 책임 원칙 O => OCP(Open/Closed principle): 개방-폐쇄 원칙 L => LSP(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리스코프 치환원칙 I =>ISP(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D=>DIP(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의존관계 역전 원칙 SRP 단일 책임 원칙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ex) 악기 라는 클래스가 있다면 악기의 속성만 다뤄야 한다. 악기 클래스 안에서 악기의 이름과 속성을 DB에 저장하는 기능이 동시에 있으면 안된다. //.. 2021. 4. 14. [Spring] 스프링 공부 본격적으로 시작 Spring을 어떻게 배울까? 스프링을 어디서 부터 시작해야되지 막막한 사람들이 이글을 보고 잘 배웠으면 좋겠다. 물론 실패한 과정도 있다. 1. 책구매 토비의 스프링 책을 구매했다. 독학하기에 꽤 큰 책이었다. 책을 읽고 공부를 하다보니 의문점이 왔다. 물론 이론부터 배우는것도 좋지만 그래도 한번 스프링이 무엇인지 한번 경험해보는것이 좋겠다 싶었다. 그리고 나서 책을보면서 더 탄탄한 베이스를 만들자 생각을 했다. 사실 아무것도 모르는데 설명해주는 사람 없고 혼자 이해하는게 제일 위험한거다. 잘못된 개념이 자리잡으면 고치기 힘들다 생각했다. 그래서 인강을 찾아봤다. 2. 인강 열심히 인강을 찾아 돌아다니던중 패스트캠프 와 인프런이 눈에 들어왔다. 패스트 캠프 패스트 캠프의 스프링 후기 를 찾아봤지만 좋지.. 2021. 4. 12. [Spring] spring 웹 개발 기초 3(API방식) API 방식 api 방식이 어떻게 동작 하는지 알아보는 내용 1. @ResponseBody 문자반환 @Controller //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hello-string") @ResponseBody // response public String helloString(@RequestParam("name") String name) { return "hello " + name; } } @Response 를 사용하게 되면 앞서 웹개발 기초 2에서 설명했던 View resolver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에 HTTP의 Body에 문자 내용을 직접 반환 한다. 2. @ResponseBody 객체반환 @Controller public cla.. 2021. 4. 10. 이전 1 ··· 17 18 19 20 21 다음 728x90 반응형